노션에 공부용으로 정리해놨던 내용을 블로그로 옮기면서 다시한번 주요 지표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.
1. DAU & WAU & MAU & Stickiness
- DAU(Daily Active User) / WAU(Weekly Active User) / MAU(Monthly Active User)
- 일간/주간/월간 활성 유저 수
- 한 유저가 여러번 방문해도 한 번으로 집계 (중복X)
- 서비스의 활성화 정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음
- Stickiness(고착도)
- Stickiness = DAU / MAU(or WAU)
- 유저들이 우리 서비스에 계속해서 방문하는지("딱 붙어있는지")를 측정하는 지표
- Stickiness가 높을 수록 유저가 우리 서비스에 꾸준히 접속하고, 낮으면 가끔씩만 접속한다는 의미
- Engagement 지표라고도 하며 Retention을 약식으로 보는 방법이다.
- ex) 5월 8일의 DAU가 1명, WAU가 7명이면 Stickiness = 14%로, 주간 방문한 순수 사용자 중 14%만이 5월 8일에 방문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. 만약 DAU가 7명, WAU가 7명이면 Stickiness = 100%로, 주간 방문한 순수 사용자의 100%가 5월 8일에 방문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.
2. Retention
- Retention
- (Classic) Day N Retention = N일 뒤 다시 방문한 유저 수 / 첫 방문 사용자 수
- 내 서비스에 처음 방문한 사용자가 N일 뒤에 재방문 하는 비율
- AARRR 중에서도 특히 개선하기 어려운 영역
- 일반적으로 접속이나 로그인을 기준으로 리텐션을 측정한다.
- 클래식 리텐션 / 범위 리텐션 / 롤링 리텐션 등의 계산 방법이 존재한다.
- ex) 5월 1일에 1000명이 우리 서비스에 첫 방문했고, 5월 8일(7일 뒤)에 다시 방문한 유저가 120명이라면, Day 7 Retention은 120 / 1000 = 12%